생활코딩 WEB2 - Home server

생활코딩 WEB2 - Home server

공유기

IP Address(Internet Protocol Address)

  • 인터넷을 사용하려면 IP 주소를 가지고 있어야한다.
  • 두 개의 기기가 인터넷으로 통신하려면 서로의 IP 주소를 알고 있어야한다.

공유기

  • 통신사에 인터넷을 신청하면 인터넷 회선과 하나의 IP 주소를 부여받는다.
  • 하나의 IP 주소로 집에있는 다양한 기기들이 모두 인터넷에 연결할 수 없기 때문에 공유기를 사용한다.
  • 공유기는 인터넷 회선과 공유기에 연결된 여러 기기들을 중계해주는 역할을 한다.
  • 공유기는 공유기에 연결된 기기들에게 IP 주소를 부여하는데, 이 IP 주소는 내부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주소로 사설 IP 주소(private IP address)라고 한다. 예를 들면, 회사의 내선번호 같은 것이다. 회사의 내선번호는 회사 내부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.
  • 공유기의 IP 주소는 인터넷 회선으로부터 부여받은 공용 IP 주소(public IP address)이다. 예를 들면, 회사의 내선번호가 아닌 개인 휴대폰번호 같은 것이다.
  • 공유기는 내부 네트워크 IP 주소도 가지고 있는데 Gateway address 또는 Router address 라고 한다. 내부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들이 공유기와 통신할 때 사용한다. (보통 192.168.0.1)
  • 사설 IP 주소는 특정 범위의 주소만 사용하기로 전세계적으로 약속이 되어있다.

Network Address Translation

  • 사설 IP 주소를 사용하는 기기들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기술이다.
  • 사설 IP 주소를 사용하는 기기가 클라이언트로서 사용될 때의 NAT에 대한 내용이다.
  • 내부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가 공용 IP 주소에 데이터를 요청하면, 공유기가 이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. 이 때, 공유기는 내부 네트워크의 어떤 주소에서 요청하였는지 기록한다. 또한 요청한 내용을 사설 IP 주소가 아니라 공유기의 공용 IP 주소로 변경한다.
  • 요청한 공용 IP 주소로부터 답이 오면 공유기는 이를 받아 요청한 내부 네트워크 IP 주소로 전달한다.

내 컴퓨터의 IP 주소 알아내기

  • 네트워크 설정에서 IPv4 주소가 내부 네트워크상에서 사설 IP 주소이다.
  • 네트워크 설정에서 라우터 주소는 공유기의 사설 IP 주소이다.

포트

  • 하나의 컴퓨터에 여러 개의 서버가 존재할 수 있다.
  • 하나의 컴퓨터에 존재하는 여러 개의 서버를 식별하기 위해 포트 번호를 사용한다.
  • 포트는 0 ~ 65535 까지 존재한다.
  • 0 ~ 1023 사이의 포트는 Well-known port로 마음대로 쓸 수 없다. 예를 들면,22번은 SSH, 80번은 http로 할당되어 있다.
  • 80번은 웹서버가 사용한다. (관습적으로 8080, 8000번도 사용한다.)
  • 사용자가 임의의 서버를 설치하면, 서버는 1024 ~ 65535의 포트중 임의의 포트를 리스닝 해야한다.

포트 포워딩

  • 공유기의 공인 IP 주소의 특정 포트로 접속시, 공유기가 내부 네트워크의 특정 사설 IP의 특정 포트에 연결시켜주는 것을 말한다.
  • 공유기 설정 페이지에 접속하여, 포트포워드 설정에서 외부포트와 연결될 내부 네트워크 주소 및 포트를 설정한다.

유동 아이피와 고정 아이피

  • 통신사에서 인터넷 회선을 연결하면 기본적으로 유동 IP이다.
  • 즉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공유기에 할당된 IP 주소가 자동으로 바뀌게된다.
  • 따라서 서버를 운영하려면 고정 IP가 필요하다.

DHCP

  • DHCP(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)은 네트워크에 접속한 장치의 ip, subnet mask, gateway address, DNS와 같은 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해주는 기술이다.
  • 공유기에는 DCHP Server가 내장되어 있고, 노트북, 스마트폰 등의 기기에는 DHCP Client가 내장되어 있다.
  • Mac Address는 모든 기기의 통신장치에 부여되는 식별자이다. 물리적 주소라고도 한다.
  • 공유기의 설정 페이지에 접속하여, 내부 네트워크 설정(iptime 기준)에 들어가면 DHCP Server를 설정할 수 있다.

수업을 마치며

  • 공유기의 관리자로 설정페이지에 접속하여 여러가지 설정들에 대해 공부해보자.
  • NAS
  • Domain
  • DDNS
  • 보안에 관련된 https, Let’s encript
  • web hosting, server hosting, cloud computing 업체들을 통해 실제 서비스를 운영해보자.

Tags:

Categories:

Updated:

Leave a comment